쿠분투의 네트워크 기능은 모든 사람들이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더 이상 예전처럼 명령행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일은 거의 없어졌습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PC 간에 파일을 공유하거나,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명령행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아직 리눅스와 호환되지 않는 하드웨어를 가진 사용자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들도 명령행을 통해 설정을 변경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합니다.
New in Kubuntu 8.04 is KNetworkManager. KNetworkManager makes connecting and managing your connections a snap. Whether you are using a wired (Ethernet) connection or a wireless connection, KNetworkManager can monitor for connects and disconnects, locates wireless access points, and manages your wireless encryption (see “K 네트워크 관리자”).
몇몇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서핑하거나 이메일을 읽는 것 이외에도, Windows PC와 Mac 간에 파일을 공유하는 것과 같은 다른 작업들을 하고 싶을 것입니다. Windows 네트워크에 쿠분투를 설정하는 것은 아주 간단한 작업이며, 대부분은 명령행에 아주 단순한 명령들을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만약 네트워크 혹은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먼저 여러분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모델명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알아보려면, 아쉽게도 명령행을 이용해야만 합니다. 쿠분투에서 명령행을 사용하려면, Alt+Space 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Katapult라고 하는 팝업창이 열릴 것입니다. konsole
이라고 입력한 뒤 Enter 키를 누릅니다. Konsole이 실행되면, username@hostname:~$
와 같은 내용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lspci
라고 입력한 뒤 Enter 키를 누릅니다. 네트워크 하드웨어 정보를 메모해 두십시오. 이것은 (특히 무선 랜 카드의 경우) 다음에서 설명할 부분에서 필요해 질 것입니다.